DNS 구축 및 설정하기

VMware에 설치한 리눅스에 DNS 서버 구축 및 설정하기

리눅스를 다시 공부하는 차원에서 DNS를 구축해 보았다.

1. RHEL 6.5 DVD를 마운트하고 마운트 된 Packages 디렉토리로 이동하였다.

   # rpm -Uvh bind- 

   명령어를 입력하여 bind 패키지들을 설치한다.

2. # rpm -qa | grep bind 명령어를 입력하여

     bind 패키지들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
3. # vi /etc/hosts 명령어를 입력하여

   아이피와, 도메인을 입력한다.

** 참고 **

인터넷 주소 창에 URL을 입력했을 때, 웹 브라우저는 /etc/host.conf 파일을 조사한다.

/etc/host.conf 파일에는 IP주소를 얻기위해 무엇을 먼저 확인할지 결정하는 내용이 있다.

order hosts,bind 라고 적혀있으면 먼저 /etc/hosts 파일을 찾아본 후에 없다면

/etc/resolv.conf에 설정된 네임 서버에 질의하라는 의미이다.

만약 /etc/host.conf에 order로 시작하는 내용이 없어도

order hosts,bind 가 포함된 것이다.

4. # system-config-firewall 명령어를 입력하여 방화벽 설정을 한다.

   DNS를 체크하고 적용을 누른 후 방화벽 설정 창을 닫는다.

5. # vi /etc/named 

   명령어를 입력하여 오른쪽 사진 처럼 수정해야 한다.

listen-on port 53 {any;}; – dns 서버 “외부에서 53번 포트”를 이용해 통신할 수

있게하기 위해서 any로 설정해야 한다

allow-query {any;}; – 도메인에 대한 설정 정보를 “조회”할 수 있게 하기 위해

any로 설정해야 한다. (DNS에 모든 아이피의 질의를 허용해야 하니까)

6. # service named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여 named 데몬의 상태를 확인하고

   # service named start 명령어를 입력하여 named 데몬을 시작하자

   # chkconfig –level 35 named on 명령어를 입력하여 재부팅 후에도 named 데몬이 자동실행 되도록 설정하자

7. # vi /etc/named.rfc.1912.zones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

8. # vi /etc/named.rfc1912.zone 명령어를 입력하여 열린 파일에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다.

   아래 그림처럼 정방향 영역과, 영박향 영역을 설정해 줘야 한다.

 

9. 위에서 정방향 영역과, 역방향 영역을 설정했으니 해당하는 파일을 만들고 설정을 해야 한다.

   먼저 # cp /var/named/named.localhost /var/named/kim.com.zone 으로 복사 후 정방향 영역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

  

 $ TTL    1D

   @       IN    SOA    @    kim.com.    (

77

3H

15M

1W

1D

)

  IN    NS    kim.com.

  IN    A     192.168.100.128

  

www        IN    A     192.168.100.128

10. 이번에는 역방향 영역 파일을 만들고 수정해야 한다. 처음부터 다 타이핑 하기 귀찮으니

     # cp /var/named/kim.com.zone /var/named/192.168.100.rev 로 복사 후

     아래 빨간색 밑줄만 변경하면 된다.

    128    IN    PTR    kim.com.

    PTR은 IP 주소에 대응하는 도메인 이름을 매핑시켜 준다.

11. # chmod 660 kim.com.zone

     # chmod 660 192.168.100.rev

     # chown root:named kim.com.zone

     # chown root:named 192.168.100.rev

     # service named restart

     명령어를 입력하여 kim.com.zone 파일과, 192.168.100.rev 파일의 소유권과, 허가권을 변경한다.

     그리고 named 데몬을 재시작한다.

12. VMware에 설치한 리눅스 (CentOS 6.5)를 하나 더 켜서 테스트를 한다.

    # vi /etc/resolv.conf 명령어를 입력하여

    nameserver 192.168.100.128 으로 수정한다.

    DNS 서버가 구축된 리눅스 1번째(RHEL6.5)의 아이피 주소이다.

13. # nslookup 명령어를 입력하여 

    1번째 리눅스(RHEL 6.5)에서 구축한 DNS가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 하자.

    

    아래 사진처럼 

    kim.com 과

    www.kim.com이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

14. 이번에는 웹에서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 하기 위해 1번째 리눅스(RHEL 6.5)로 돌아와서

    # rpm -qa | grep httpd 명령어를 입력하여 httpd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
15. #chkconfig –level 35 httpd on 명령어를 입력하여 httpd 데몬이 재부팅 후 자동시작 되도록 설정

     # servuce httpd restart 명령어를 입력하여 httpd 데몬 재시작

     # cd /var/www/html/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렉토리를 이동하고

     # touch index.html 명령어를 입력하여 index.html 파일을 만든다.

     # vi index.html 명령어를 입력하여

     대충 aaaaaaaaa 라고 입력하고

     # service httpd restart 명령어를 입력하여 httpd 데몬을 재시작한다.

16. 이번에는 iptables 명령어를 입력하여 방화벽 설정을 하자

    # iptables -I INPUT -p tcp –dport 80 -j ACCEPT 명령어를 입력하여 http 방화벽 포트 80번을 허용하고

    # service iptables save

    # service iptables restart 

    명령어를 입력한다. (순서 중요)

17. 2번째 리눅스(CentOS6.5)에서 파이어폭스를 실행하고 

    www.kim.com 

    kim.com 을 입력하여 웹에서도 잘 테스트 되는지 확인하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Leave a Comment